티스토리 뷰
[나중에 다시 풀기]
그냥 하던대로 거리 구해서 모든 간선을 추가하면 메모리 초과가 난다.
<메모리 초과 코드>
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n = int(input())
xyz_ = [[0,0,0]]
for _ in range(n):
xyz_.appen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
pair_ = list(combinations([i for i in range(1, n+1)], 2))
edges = []
answer = 0
parent = [0] * (n+1)
for i in range(1, n+1):
parent[i] = i
def distance(a, b):
return min(abs(a[0]-b[0]), abs(a[1]-b[1]), abs(a[2]-b[2]))
def find_parent(x):
if parent[x] != x:
parent[x] = find_parent(parent[x])
return parent[x]
def union_node(a, b):
a = find_parent(a)
b = find_parent(b)
if a < b:
parent[b] = a
else:
parent[a] = b
for i in pair_:
edges.append([i[0], i[1], distance(xyz_[i[0]], xyz_[i[1]])])
edges = sorted(edges, key = lambda x: x[2])
for edge in edges:
if find_parent(edge[0]) != find_parent(edge[1]):
union_node(edge[0], edge[1])
answer = answer + edge[2]
print(answer)
모든 간선이 아니라, x, y, z 에 대해 각각 거리를 구해서 최소거리 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사용하면 된다.
ex) N개의 점, 기존 방식대로라면 N(N+1)/2개의 간선에 대한 정보를 전부 계산하고 저장해야함.
그러나, x, y, z를 따로 구하면 3N만큼의 정보만 저장해도 됨.
<통과 코드>
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n = int(input())
x_ = []
y_ = []
z_ = []
parent = [0] * (n+1)
for i in range(1, n+1):
parent[i] = i
def find_parent(x):
if parent[x] != x:
parent[x] = find_parent(parent[x])
return parent[x]
def union_node(a, b):
a = find_parent(a)
b = find_parent(b)
if a < b:
parent[b] = a
else:
parent[a] = b
for i in range(1, n+1):
x, y, z = map(int, input().split())
x_.append([x, i])
y_.append([y, i])
z_.append([z, i])
x_ = sorted(x_)
y_ = sorted(y_)
z_ = sorted(z_)
edges = []
for i in range(n-1):
edges.append([abs(x_[i][0]-x_[i+1][0]), x_[i][1], x_[i+1][1]])
edges.append([abs(y_[i][0]-y_[i+1][0]), y_[i][1], y_[i+1][1]])
edges.append([abs(z_[i][0]-z_[i+1][0]), z_[i][1], z_[i+1][1]])
edges = sorted(edges)
answer = 0
for edge in edges:
cost, p1, p2 = edge
if find_parent(p1) != find_parent(p2):
union_node(p1, p2)
answer = answer + cost
print(answer)
이런 생각은 도대체 누가 하는 거지...
x, y, z 별로 따로 거리를 저장해서, 그 거리를 sorting한 다음, 제일 작은 것 부터 꺼낸다라... 아주 ... 아주 훌륭한 생각이다.
'코딩테스트 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003번 피보나치 함수 (0) | 2022.03.11 |
---|---|
[백준] 17472번 다리 만들기 2 (삼성 A형 기출 문제) (0) | 2022.03.09 |
[백준] 1774번 우주신과의 교감 (0) | 2022.03.08 |
[백준] 4386번 별자리 만들기 (0) | 2022.03.08 |
[백준] 1197번 최소 스패닝 트리 (0) | 2022.03.08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PIP
- torchscript
- 파이썬
- dfs
- 설치
- Python
- 다익스트라
- 백트래킹
- LGSVL
- 코딩테스트
- docker
- BFS
- 카카오
- pytorch
- version
- notfound
- 최소신장트리
- matplotlib
- error
- CUDA
- 이것이코딩테스트다
- 프로그래머스
- torch
- 백준
- tensorflow
- 동적프로그래밍
- numpy
- 설치하기
- shellscript
- n과m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