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본 포스팅은 biotech-lab.tistory.com/entry/13-%EB%8F%84%EC%BB%A4docker-GUI-%EC%95%B1-%EC%8B%A4%ED%96%89 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docker run -it -e DISPLAY=$DISPLAY -e USER=$USER -v /tmp/.X11-unix:/tmp/.X11-unix \
-v ~/.Xauthority:/root/.Xauthority --net host image name or id /bin/bash
docker run -e : 환경변수 설정 옵션
docker run -v: mount option
docker container가 실행되면 xclock 같은 명령어로 x-window가 뜨는지 확인해본다.
참고) xclock이 command not found가 뜨면, apt-get install x11-apps 명령어 실행
참고) .Xauthority를 mount할 때, 나는 server안의 내 홈 디렉토리 안에 .Xauthority가 존재하고, docker container는 기본적으로 root이기 때문에 ~/.Xauthority를 /root/.Xauthority에 mount해 주었다.
참고) docker 내에서 gpu 사용하려면 --gpus 옵션을 줘야한다. 나는 내 server에 달린 모든 gpu를 사용할 것이므로 --gpus all 을 옵션으로 주었다.
Tip. docker 생성 시 (run) mount를 잘 해줘야한다. 이유는 실행중인 container에 새로운 volume을 mount하려면 commit한 후 다시 run 해줘야하기 때문. 물론, docker container에 속해있는 data 및 깔려있는 프로그램 등이 용량을 별로 차지하지 않는다면 commit and run을 맘대로 해줘도 되겠지만, 나같은 경우는 15GB 정도 되는 docker image가 생성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잘 mount 해줘야한다.
docker commit은 아래 포스팅 참고
blog.naver.com/kdheejb7/222167411706
p.s. 블로그의 글을 티스토리로 다 옮겨올 수 있을까..!
'이것저것 자료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ocker] docker pull error (0) | 2022.03.18 |
---|---|
[Docker] Error : systemctl status docker (0) | 2022.03.18 |
[Docker] 현재 컨테이너에 옵션 추가하기 (0) | 2022.03.18 |
[Docker] nvidia-docker 설치하기 (0) | 2022.03.18 |
[Docker] docker image push 하기 (0) | 2022.03.18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version
- 설치하기
- Python
- PIP
- 최소신장트리
- 동적프로그래밍
- 파이썬
- 다익스트라
- pytorch
- 프로그래머스
- torchscript
- 설치
- 코딩테스트
- dfs
- CUDA
- 이것이코딩테스트다
- 백트래킹
- notfound
- error
- matplotlib
- numpy
- 카카오
- LGSVL
- torch
- tensorflow
- 백준
- n과m
- docker
- BFS
- shellscrip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