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Cartesian coordinate system, 일명 데카르트 좌표계는 별게 아니라 우리가 알고 있는 직교 좌표계를 뜻한다.
내가 잘 몰랐던 건,
데카르트 좌표계 == 직교좌표계 인 것은 알았는데,
카타시안(Cartesian) 좌표계 == 데카르트 좌표계 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.
(이 용어 나올 때마다 찾아보는데 찾아보고 나서야, 아 맞다 이거였지 항상 이 패턴을 반복한다..^^)
보통
- Cartesian plane을 2차원 데카르트 좌표계, 좌표 평면 이라고 하고
- Cartesian space를 3차원 데카르트 좌표계, 좌표 공간 이라고 한다.
추가적으로, 유클리드 공간(Euclidean space)는 좌표계 없이 거리와 길이, 각도 개념을 공간에 표시를 한 것이다.
결국 정리하자면,
데카르트 좌표계는 유클리드 공간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.
(이 외에도, 원통 좌표계, 구면 좌표계 등이 유클리드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)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Cartesian_coordinate_system
Cartesian coordinate system - Wikipedia
Coordinate system Illustration of a Cartesian coordinate plane. Four points are marked and labeled with their coordinates: (2, 3) in green, (−3, 1) in red, (−1.5, −2.5) in blue, and the origin (0, 0) in purple.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(, ) in a
en.wikipedia.org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Euclidean_space
Euclidean space - Wikipedia
From Wikipedia,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Fundamental space of geometry A point in three-dimensional Euclidean space can be located by three coordinates. Euclidean space is the fundamental space of classical geometry. Original
en.wikipedia.org
(이 wiki의 대표 그림만 봐도 두 개념의 차이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다)
*혼자 공부 겸 기록하는거라 틀린 사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
'공부 > 용어 및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념] Precision과 Recall (0) | 2021.07.29 |
---|---|
[용어] Cardinality (0) | 2021.07.02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백트래킹
- 코딩테스트
- shellscript
- 최소신장트리
- n과m
- LGSVL
- notfound
- dfs
- 카카오
- PIP
- numpy
- 설치
- torchscript
- 파이썬
- CUDA
- torch
- 다익스트라
- BFS
- 프로그래머스
- 동적프로그래밍
- docker
- Python
- version
- 설치하기
- error
- matplotlib
- pytorch
- tensorflow
- 백준
- 이것이코딩테스트다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